• 2025. 2. 5.

    by. summer2405

     

     

    EBS 입이 트이는 영어 2월 5일 주제는 'Riddles (수수께끼)'입니다.  pun (말장난, 언어유희), wordplay (말장난, 재담)인 수수께끼는 아재개그 (dad joke)와 한 끗 차이라는 표현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오늘의 통암기 문장

     

    There's a fine line between riddles and dad jokes. 

    수수께끼와 아재 개그는 한 끗 차이다.

    fine line 미세한 선, 한 끗 의미  

     

     

    He must be at that age.

    그럴 나이인가 보네요.

     

     

    본문 Speech Practice 

     

    Our eldest child, a grade-schooler, loves asking and solving riddles. 

    초등학생인 우리 집 큰 아이는 수수께끼 문제를 맞히는 것을 무척 좋아합니다. 

    grade-schooler 초등학생  

     

     

    One day, he brought home a riddle he learned from his friends and posed it to me. 

    하루는 친구들에게 배워 온 수수께끼를 저에게 냈습니다. 

    pose it to ~에게 묻다, 제시하다 

     

     

    "Mom, What's the smartest bird in the world?  The answer is Har-bird."

    "엄마, 세상에서 제일 똑똑한 새는? 정답은 하버드."

     

     

    I found it very amusing because it came from my son. 

    아들이 낸 문제라서 그런지 저는 무척 재미있었습니다. 

    find it very amusing 매우 흥미로워하다 

    여기서 'find -느끼다'  의미

    amusing = interesting and amazing amd entertaining

     

     

    To encourage my son's interest in riddles, I bought him a book of riddles.

    수수께끼에 푹 빠진 아들을 위해서 저는 수수께끼 책을 한 권 사 주었습니다.

    encourage someone's interest in  ~에 대한 관심을 장려하다 

     

     

    As he read the book, he started asking his dad riddles. 

    아들은 책을 읽다가 아빠에게 문제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Some of the questions seemed quite challenging to me, but my husband got them right almost immediately. 

    제가 느끼기에는 제법 어려운 문제들도 있었는데, 남편은 문제를 풀자마자 답을 맞혔습니다. 

    seem quite challenging 꽤 어렵게 느껴지다

    get it right 정답을 맞히다 

    get it wrong 정답을 틀리다 

     

     

    While answering our son's riddles, my husband sometime asked riddles of his own, emphasizing the point that he had made them up on the spot. 

    아들의 수수께끼에 대답하던 남편은 본인이 즉석에서 만든 문제라고 강조하며 수수께끼를 내기도 했습니다. 

    of one's own 자신의 

    emphasizing the point that  ~라는 점을 강조하다 

    make something up on the spot ~을 즉석에서 만들어 내다

     

     

    Hearing them, I realized that there's a fine line between riddles and dad jokes. 

    남편의 문제들을 들으니, 수수께끼와 아재 개그는 한 끗 차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there's a fine line between ~는 한 끗 차이다

    dad joke 아재 개그 

     

     

    That would explain why he has a knack for solving riddles. 

    남편이 수수께끼 풀이에 강했던 것은 다 그런 이유였나 봅니다. 

    have a knack for ~하는 재주(재능)가 있다 

     

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