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7. 3.

    by. summer2405

    TESOL이론 화용론(pramatic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용론(pramatics)이란

    문자적 의미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할 때 우리가 사용하는 유일한 종류의 의미는 아닙니다. 어떤 의미는 진리조건외적인데, 이는 발화자가 대화나 담화의 일부로서 문자적 의미를 사용하는 방식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진리조건외적(extra-truth-condition) 의미에 관한 연구를 화용론이라고 합니다. 예술가가 장면을 묘사하기 위해서 스케치나 추상적인 기법을 사용하는 여러 이유가 있는 것처럼, 화자가 사건의 상황을 기술하기 위해서 특정 문장이나 담화를 고르는 것에도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 화자 문자적으로 표현하지 않고도 의미를 드러내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이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대명사와 다른 직시어 (Pronouns and other deictic words)

    뜻이 불명확한 문장의 의미를 발화 맥락이 보충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맥락과 화자의 입장을 통해 일부 의미를 알 수 있는 단어들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단어를 직시어(deictic)라고 부르는데, 대명사(she, it, I), 지시사(this, that), 부사(here, there, now, today), 전치사(behind, before) 그리고 이런 단어가 포함된 복합적인 표현(those towers over there)등을 포함합니다. 

    대명사의 지시대상은 어휘적으로 제한되지만, 대명사의 지시대상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맥락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지시 해결(reference resolution)이라고 합니다. 대명사의 해결에 관련되는 두 가지 유형의 맥락이 있는데, 하나는 언어적(linguistic) 맥락이고 다른 하나는 상황적(situational) 맥락입니다. 언어적 맥락은 대명사가 사용되기 전의 담화나 대명사가 나타나는 담화에 언급된 어떤 것을 지칭하며 상황적 맥락은 비언어적인 것입니다. 

     

    1. 대명사와 상황적 맥락

     상황적 맥락은 He went that way! 나 Who is that masked man? 에서처럼 종종 무언가를 가리키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몸짓의 형태를 취합니다. 마찬가지로 next day는 오늘 발화되느냐 오늘로부터 한 달 후에 발화되느냐에 따라 다른 지시를 가집니다. 만일 당신이 날짜가 적혀있지 않은 'Big sale next week'라는 문구를 봤을 경우, 당신은 그 세일이 이미 끝나버렸는지 아닌지를 모를 겁니다. 

    before/behind  left/right  front/back

    위와 같은 방향 지시어들은 그들의 지시를 알기 위해서 대화 참여자들이 있는 공간에서의 방향을 알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직시적입니다. 일본어에서 '오다'라는 뜻의 동사 kuru는 오직 화자 방향으로의 이동에만 사용됩니다. 일본어 화자는 친구에게 전화하여 영어로 "May I come to your house?"를 발화할 수 없을 것입니다. 

     

    2. 대명사와 언어적 맥락

    대명사의 지시가 언어적 맥락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문장 내에서, 다른 하나는 문장 밖에서 입니다. 재귀대명사(reflexive pronoun)는 언어적 맥락, 더 자세히 말하자면 문장 내부의 언어적 맥락을 통해 그 지시를 받는 대명사의 일종입니다. 다시 말해 문장 내에 재귀대명사가 동일지시(co-refer)를 할 수 있는 다른 명사구 즉 선행사(antecedent)가 있어야 합니다. 영어에서 재귀대명사는 himself나 themselves와 같이 -self 혹은 -selves로 끝납니다. 예를 들어 "Herself left."와 같은 말은 쓸 수 없습니다. 재귀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선행사를 필요로 하므로 "John wrote herself a letter."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함축(Limplicature)

    대명사는 문장이 발화되는 맥락이 어떻게 그 문장의 의미를 확정 짓는지에 관한 보기입니다. 맥락이 의미와 관련하여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는데, 이는 맥락이 문장의 의미를 보충해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화의 함축에 관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SUE: Does Mary have a boyfriend?

    BILL: She's been driving to Santa Barbara every weeknd. 

    Bill은 Mary가 주말마다 Santa Barbara까지 드라이브한다는 의미 안에 그는 Mary가 남자친구가 있으며 남자친구는 Santa Barbara에 산다는 것을 함축합니다. 

    화용적 규칙을 공식화하기 위해 가장 눈에 띄는 노력을 한 사람은 영국 철학자 H. Paul Grice로그는 우리가 대화 속에서 함축을 인지하는 방법을 안다고 할 때 무엇을 아는지를 공식화하려고 했다. 그는 언어 사용자들은 함축 원리들을 모두가 따르기 때문에 함축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러한 규칙들을 담화의 '격률(maxim)이라고 칭하고, 이를 진리조건외적 의미 연구인 화용론의 토대로 사용하였습니다. 아래의 격률들은 규범적인 규칙이라기보다는 대화 함축의 사용을 가능하게 만드는 언어 사용자 공동체가 사용하는 전략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의 격률: 진실성

    당신이 거짓이라고 믿는 것을 말하지 말라.

    증거가 충분치 않은 것을 말하지 말라.

    양의 격률: 정보

    현재 대화의 목적에 필요한 만큼 정보를 제공하라.

    필요 이상의 정보를 주지 말라.

    관련성의 격률: 관련성

    관련되는 말을 하라.

    태도의 격률: 명료성

    모호한 표현은 피하라.

    중의성을 피하라.

    간결하게 말하라.

    논리 정연하게 말하라.

     

    화행(Speech acts)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우리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언어를 사용하여 약속을 하고, 내기를 걸고, 경고를 하고, 배 이름을 짓고, 직책에 지명하고, 축하를 하고, 증언을 할 수 있습니다. 화행 이론은 이런 것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기술합니다. bet, promise, warn 등의 동사들은 수행동사(Perfomative verb)라고 하며 이러한 동사를(1인칭, 현재시제) 문장 속에서 사용하는 것은 그 진술에 부가적인 어떤 것을 더하는 것입니다. 아래에서 수행동사 예시 문장을 보면 모든(1인칭으로 된) 문장에서 화자는 주어로서 그 문장을 말함으로써 일을 감행하거나, 누구를 지명하거나, 어떤 직책을 사임하는 등의 추가적인 행동을 행합니다. 

    I bet you five dollars the Yankees win.

    I dare you to step over this line.

    I promise to improve

    I resign.

    Summary

    화자가 대화에서 문자적 의미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의 결과로 발생하거나 아니면 담화의 일부로 생기는 진리조건외적 의미에 관한 연구를 화용론이라고 합니다. 언어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사건의 상황을 100%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며 맥락은 다양한 방식으로 언어적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맥락은 이전에 발화되었거나 글로 쓰인 것, 즉 언어적일 수 있고, 상황맥락이라고 불리는 것을 포함하는 이 세상 지식일 수도 있습니다. 많은 대명사들의 지시대상은 맥락에 의존하며 재귀대명사는 동일한 문장 내에 있는 선행사를 필요로 합니다. 모든 언어의 화자는 진지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 대화 격률이라 불리는 다양한 협력원리를 고수합니다. 화행이론은 내기 걸기, 경고하기, 후보자 지명하기와 같은 일을 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우리에게 말해줍니다. 

이버